月소득 일년새 3.8% 늘었지만…상하위 격차 '역대최대'

국내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2분기에 470만원을 넘어, 일년새 3.8% 증가하며 2분기로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상위 20%인 5분위에서 3.2% 증가하는 동안 1분위는 제자리에 머물렀다.

특히 분배지표인 '5분위 배율'은 2분기 기준으로는 관련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최악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0만 4천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의 453만원에 비해 3.8% 증가한 수치로, 올 1분기의 482만 6천원보다는 감소했다. 2분기로는 역대 최대치이자,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금액 기준으로는 3.2% 증가한 수준이다.

경상소득은 468만 3천원으로 일년새 4.2% 증가했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은 4.5% 증가한 316만 9천원,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 등을 포함한 비경상소득은 44.6% 감소한 2만 800원으로 집계됐다.

경상소득 가운데 이전소득은 13.2%나 늘어 58만원, 재산소득은 7.0% 증가한 2만 4900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사업소득은 일년새 1.8% 감소한 90만 8500원에 그쳤다.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2만원으로 일년새 8.3% 증가했다. 이자비용은 12.4%, 경상조세는 10.7%, 연금·기여금은 7.8%, 사회보험은 7.3%, 가구간 이전지출은 각각 7.1%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소득 증가율을 보였지만,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일년전과 같은 소득 수준에 머물렀다. 물가 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소득 수준이 오히려 후퇴한 셈이다.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2만 5천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변동이 없던 반면, 5분위는 942만 6천원으로 3.2% 증가했다. 특히 3분위는 419만 4천원으로 일년새 6.4%, 4분위는 566만원으로 4.0%, 2분위는 291만 1천원으로 4.0% 각각 증가했다.

1분위의 경상소득은 일년전보다 0.3% 증가에 그친 반면, 5분위의 경상소득은 4.2% 늘며 격차를 키웠다. 1분위의 경우 사업소득이 15.8% 증가한 반면, 재산소득은 -37.6%, 근로소득 역시 -15.3%를 기록했다. 비경상소득은 -44.6%였다.

반면 5분위는 사업소득과 비경상소득이 각각 -0.5%와 -63.1%를 기록했지만, 재산소득은 13.2%, 근로소득은 4.0% 각각 증가했다.

이전소득 역시 5분위는 23.4%했고, 4분위는 18.2%, 3분위와 2분위도 각각 8.9%와 7.8%, 1분위 9.7% 등 모든 구간에서 증가했다.

통계청 박상영 가계수지동향과장은 "1분위와 2분위는 국민연금, 5분위는 공무원연금과 직역연금을 중심으로 이전소득이 증가했다"며 "중간 소득 구간에선 실업급여와 아동수당의 영향도 컸다"고 설명했다.

1분위 근로소득 감소에 대해선 "1인 가구를 중심으로 근로소득이 두자릿수 이상 굉장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조사 대상인 2인 가구에 자영업황 부진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구원 수를 고려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1분위 경우 86만 6천원, 5분위는 459만 1천원이었다. 1분위는 일년새 1.9%, 5분위는 3.3% 증가한 수치다.

1분위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업소득은 각각 33.5%와 23.2% 증가한 반면, 근로소득과 재산소득은 각각 18.5%와 41.2%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경우 근로소득은 2.0%, 사업소득 4.8%, 공적이전소득은 40.5% 등 고루 증가했다.

이러다보니 상위 20%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2분기에 5.30배를 기록했다. 이전 분기의 5.80배에 비해선 나아진 수치이지만 지난해 2분기의 5.23배는 물론,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래 2분기로는 가장 높았다.

박상영 과장은 "1분위의 소득 감소세가 멈추긴 했지만, 다른 분위처럼 뚜렷한 증가로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공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지출 등 정부 개입 부분을 제외한 시장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9.07배로, 1분기의 9.91배보다는 낮지만 2분기 기준으론 역시 최대치를 나타냈다. 

이같은 소득 격차 심화 현상은 3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크다. 박 과장은 "미중 무역갈등에 일본 수출규제까지 대외적 리스크가 큰 상황"이라며 "다만 9월부터 EITC(근로장려금)가 대폭 확대되고 추가경정예산 집행으로 일자리 사업이 늘어나면 긍정적으로 작용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2019-08-2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