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구 40%가량은 집이 없고 월소득의 15.5%를 임대료로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애 첫 내집 마련엔 7.1년이 걸리고 연간소득 대비 5.5배의 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17일 전국 6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6~12월 실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자가(自家)보유율은 61.1%로 일년전과 비슷했다. 자기 집에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57.7%로, 2017년에 이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자가인 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배수(PIR)은 5.5배로 일년전의 5.6배와 비슷했다. 수도권은 6.9배로 광역시의 5.6배나 도 지역의 3.6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은 15.5%로, 2017년의 17.0%보다 낮아졌다. 하지만 수도권은 18.6%로, 광역시의 16.3%나 도 지역의 15.0%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애 첫 주택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7.1년으로 2017년보다 소폭 길어졌지만, 2014년 이후론 대체로 '7년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7년으로 일년전보다 소폭 감소했다.자가가구는 10.7년, 임차가구는 3.4년이었고 지역별로는 도 지역이 10.2년인 데 비해 수도권은 6.3년이었다.
현재 주택에 2년 이내로 거주한 가구는 36.4%로, 이 가운데 자가는 21.7%, 임차는 58.5%였다.
1인당 주거면적은 31.7㎡로 일년전의 31.2㎡에서 소폭 증가했다.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가구는 5.7%인 11만 가구로, 2017년의 14만 가구(5.9%)에 비해 소폭 줄었다.
청년가구의 75.9%는 임차가구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임차가구 가운데 전세 비중은 일년전의 28.9%에서 32.0%로 증가한 반면, 월세 비중은 71.1%에서 68.0%로 감소했다.
청년 임차가구의 RIR은 20.1%로 일반가구보다 높았지만, 수도권 거주 청년 임차가구의 RIR은 22.2%에서 20.8%로 소폭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청년가구의 비율은 10.5에서 9.4%로, 지하·반지하·옥탑에 사는 가구 비중은 3.1%에서 2.4%로 각각 감소했다. 반면 1인당 주거면적은 26.6㎡에서 27.3㎡로 증가했다.
신혼부부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44.7%에서 48%로, 자가보유율은 47.9%에서 50.9%로 증가했다. 임차가구 가운데 월세 비중은 32.2^에서 31.7%로 감소한 반면, 전세 비중은 67.8%에서 68.3%로 증가했다.
신혼부부 임차가구의 RIR은 19.6%에서 19.2%로 감소했지만, 자가가구의 PIR은 5.2배에서 5.3배로 증가했다.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도 78.3%에서 82.7%로 늘어났다.
고령가구의 경우 75.7%가 자가에 거주했다.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득이 많지 않아 자가가구의 PIR은 9.6배, 임차가구의 RIR은 31.9%에 달했다. 또 35.1%는 30년이 넘은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민들의 주거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안정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19-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