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일년새 4% 줄었다…38%는 '無자녀'

국내 신혼부부가 일년새 4% 줄어들고, 5년 이하 부부 10쌍 가운데 4쌍가량은 아직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7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신혼부부는 138만 쌍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2016년의 144만 쌍에 비해 4.0% 감소한 규모다.

신혼부부가 줄어든 건 혼인 건수 자체가 매년 감소 추세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에 3.7% 감소했던 혼인 건수는 2013년에서 2017년 사이엔 4.9%로 그 폭이 더 커졌다.

이번 통계 작성에 새로 포함된 1년차 신혼부부는 25만 8535쌍이었다. 2016년 기준 5년차였던 신혼부부 29만 1621쌍은 이번 통계에서 제외됐다. 

또 2년차 신혼부부는 27만 2289쌍, 3년차는 27만 8134쌍, 4년차는 28만 2744쌍, 5년차는 28만 8064쌍이었다. 연차가 낮을수록 전체 신혼부부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없는 부부는 37.5%로 일년새 1.2%p 증가했다. 1년차 신혼부부 가운데는 78.9%나 됐고 2년차는 48.6%, 3년차는 30.2%, 4년차는 20.7%, 5년차는 14.9%였다.

외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는 0.86명으로, 맞벌이 부부의 0.70명보다 많았다. 또 집을 가진 신혼부부의 평균 출생아는 0.85명으로, 무주택 신혼부부의 0.73명을 웃돌았다.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은 '가정 양육'이 47.7%, '어린이집 보육'이 46.0%로 비슷했지만, 가정 양육은 일년새 3.1%p 감소한 반면 어린이집 보육은 1.6%p 증가했다.

신혼부부 가운데 맞벌이 비중은 44.9%로 일년새 0.4%p 증가했다. 부부 합산 평균 연소득은 5278만원으로 일년새 4.7% 늘어났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연소득은 7199만원으로, 외벌이 부부의 4155만원보다 1.7배가량 많았다. 집을 가진 부부의 평균 소득은 5740만원으로, 무주택 부부의 4919만원보다 1.2배가량 많았다.

소득의 중앙값은 4630만원으로 일년전의 4341만원에 비해 6.7%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친 부부의 소득액 구간은 3천만~5천만원 미만이 26.1%로 가장 많았다.

집을 가진 신혼부부는 43.6%로 일년새 0.5%p 증가했다. 5년차 부부 가운데는 주택 소유 비율이 52.4%였다. 두 채 이상 집을 가진 신혼부부도 7.2%인 8만 쌍으로 일년새 0.2%p 늘었다.

소유한 주택의 공시가격은 1억 5천만~3억원 이하가 38.3%로 가장 많았고, 6천만~1억 5천만원 이하는 35.9%, 3억원~6억원 이하는 13.7%%였다.

금융권에 가계대출을 보유한 부부는 83.3%로, 대출액의 중앙값은 8784만원으로 일년새 12.9% 증가했다. 1억원~2억원 미만인 부부가 28.5%로 가장 비중이 컸다.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맞벌이 부부가 1억 900만원으로, 8천만원인 외벌이 부부보다 1.3배가량 높았다. 또 주택을 소유한 부부는 1억 2049만원으로, 6천만원인 무주택 부부보다 두 배가량 높았다.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은 경기도로 27.0%였고, 수도권에 52.1%였다.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과 제주 두 곳만 일년전보다 신혼부부 수가 증가했다.

전체 신혼부부 가운데 남편과 아내 모두 초혼인 경우는 80.0%였고, 나머지 20.0%는 재혼부부로 일년새 0.1%p 증가했다.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은 86.9%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3년차 부부들을 분석해보니 3년간 맞벌이 비중은 62.3%에서 43.2%로 19.1%p 감소했다"며 "주택소유 비중은 23.2%에서 44.2%로, 출산부부 비중은 0.7%에서69.8%로 각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18-12-1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