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진단서 두 달째 '회복세' 빠져…하강 접어들었나

정부가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이번 달에도 '회복세'란 문구를 제외한 진단을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9일 펴낸 '11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전반적으로 우리 경제는 수출·소비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투자·고용이 부진한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심화,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9월까지 10개월간 그린북에서 '회복세'란 표현을 사용했지만,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두 달째 이를 배제했다.

이에 따라 정부 당국도 '경기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간접 인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KDI(한국개발연구원)도 전날 내놓은 '11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수출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지만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전반적인 경기는 다소 둔화된 상황에 있다"는 진단을 내렸다.

KDI가 '경기 둔화'란 표현을 사용한 것도 당국의 이같은 인식을 반영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는 108.8을 기록해 한 달전보다 2.2%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의 2.6% 이후 최대 하락 폭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공장 증설 등의 영향으로 7개월 만에 2.9%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건설기성과 건설수주는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全)산업 생산지수도 106.6으로 한 달전보다 1.3% 떨어져 3개월 만에 하락세로 바뀌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한 달전보다 0.3포인트, 앞으로의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낮아졌다.

기재부는 "세계경제 성장 지속과 수출 호조 등은 긍정적 요인"이라면서도 "고용 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지속,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국제유가 상승,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 등 위험요인이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7조원 넘는 재정보강 등으로 경제활력을 제고하겠다"며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지원 대책,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지원대책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2018-11-09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