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국가경쟁력 27위…'고용' 6위, '경영관행' 55위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지난해보다 두 단계 오른 27위를 기록했다. 특히 '고용'은 한 단계 오른 6위, '국내경제'도 여덟 단계나 올라 9위로 상승했지만 '경영관행'과 '노동시장'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25일 발표한 '2018년 국가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은 평가대상 63개국 가운데 27위에 올랐다. 2016년과 2017년 연속 29위에서 두 계단 뛰어오른 결과다.

인구 2천만명 이상인 29개국 가운데 한국은 10위를 기록했다. 2016년과 지난해 연속 11위에서 한 계단 오른 순위다.

지난해 4위였던 미국은 세 계단 뛰어올라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위였던 홍콩은 2위, 싱가포르는 지난해 이어 올해도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8위였던 중국은 올해 13위로, 26위였던 일본은 25위로 상승했다. 26위는 지난해 23위였던 벨기에, 한국에 이은 28위는 지난해 31위였던 프랑스였다.

기획재정부는 국가경쟁력 순위 상승에 대해 "국내 경제의 안정적 성장과 핵심부문 인프라 확충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인프라 상승'은 지난해 24위에서 18위로, '경제 성과'는 22위에서 20위로, '기업 효율성'은 44위에서 43위로 상승했다. 

'고용'도 지난해 7위에서 6위로 상승했고, 특히 내수를 가리키는 '국내경제'는 지난해 17위에서 9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국제투자'도 지난해 40위에서 35위로 상승했다.

문재인정부 출범후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투자심리 등이 개선되면서 △국내총생산은 지난해 14위에서 12위 △국내총투자는 4위에서 2위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은 28위에서 22위로 각각 상승했다.

'사회응집력'이 55위에서 37위로, '정치불안 위험도'가 59위에서 45위로 상승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다만 '정부 효율성'은 28위에서 29위로 소폭 하락했고 △경영 관행은 55위 △노동시장은 53위 △기업 활동여건은 47위를 기록하며 구조적 제약 요인으로 손꼽혔다.

그나마 노동시간 단축 등에 힘입어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지난해 25위에서 10위로, '기업 윤리경영'은 52위에서 42위로 상승했다. 

반면 '노동자에 대한 동기부여'는 59위에서 61위로, '경영진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60위에서 62위로 각각 하락했다.

IMD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성장 △기술·과학·교육 등 핵심부문 인프라 확충 등을 한국의 국가경쟁력 제고 요인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내외 리스크 관리 △청년 일자리 창출 △기업 구조개혁 가속화 △경제주체간 분배 개선 △경제 복원력 제고 등을 한국에 권고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측은 "국민 삶의 가시적 변화와 국가경쟁력 제고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하면서 혁신형 고용안정 모델을 구축하는 등 노동시장 구조개혁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18-05-2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