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을 부르는 계절인 가을철엔 일교차가 커서 심장돌연사 위험도 다른 계절보다 높은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립공원 안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109건 가운데 심장돌연사는 55%인 60건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가을철인 9~11월에 발생한 사망사고 34건 가운데 심장돌연사는 20건으로 59%에 육박했다.
공단 관계자는 "연중 일교차가 가장 큰 가을철엔 신체가 갑작스런 기온 변화에 적응을 못하기 쉽다"며 "따라서 심장돌연사 위험도 평소보다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산행 도중 심장돌연사를 막으려면 사전에 심폐소생술을 숙지하는 게 좋다.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주변 목격자가 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80% 이상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즉시 조치를 취하지 못할 경우엔 4분만 지나도 생존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환자반응 확인 ▲119 또는 국립공원사무소에 신고 ▲호흡확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순서로 절차를 밟는 게 좋다. 가슴압박은 1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를 한 뒤, 인공호흡 2회를 연속으로 시행하면 된다.
인공호홉 방법을 모르거나 꺼리는 구조자는 가슴압박만을 시행하는 소생술을 실행하는 것도 방법이다.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시행해야 하며, 심폐소생술을 익힌 2 ~3명이 교대로 시행하는 게 좋다.
평소 산행을 하지 않는 사람은 저지대 탐방명소를 위주로 찾는 것도 예방책의 하나다.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우 둘레길 등 저지대 수평탐방로를 이용하는 게 좋다.
201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