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희생자 가족의 반대에도 강행하던 객실 절단 시도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에 의해 사실상 배제됐다.
해수부 이철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6일 목포 신항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조사위가 세월호 선체를 부두 위에 거치할 때 객실부를 육상 쪽으로 향하도록 할 것을 요구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세월호 선체가 부두에 놓일 위치와 수습본부가 있는 사이에 각종 유류품 세척 및 저장 시설 등이 설치될 예정"이라며 "작업장과 세월호의 동선거리를 생각하면 객실이 작업장과 가까워지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일견 당연한 듯 보이는 세월호 거치 방식에 대한 언급이지만, 이는 사실 객실절단 여부를 놓고 해수부와 조사위가 대립각을 세우던 가운데 조사위가 해수부의 고집을 꺾어놓은 결과다.
앞서 해수부와 선체정리 용역업체 코리아쌀베지는 지난달 지난 17일 '객실직립방식'으로 선체를 정리하기로 39억 8천여만원에 6개월 용역계약을 체결했다.
'객실직립방식'이란 세월호의 객실부문을 잘라내 1500t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고, 이를 똑바로 세워 세월호 옆에 내려놓겠다는 내용이다.
해수부 측은 비용과 시간, 안전 등을 감안할 때 객실직립방식이 최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은 객실직립방식 선체정리를 막기 위해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낼 만큼 우려를 표시해왔다.
미수습자의 유해나 유류품이 훼손될 우려가 큰데다, 전기·파이프 배선 등이 끊어지는 등 세월호 참사 원인의 중요한 증거들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객실부 아래 화물칸에 있는 화물이 쏟아질 수 있어 미리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예상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릴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 때문에 지난달 31일 조사위도 해수부가 강조해왔던 객실직립방식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출했고, 이후에도 수차례 객실절단을 반대해왔다.
이러한 반대를 무시하고 객실직립방식을 기정사실로 못박기 위해 해수부는 세월호의 육상거치방식에서 묘안(妙案)을 들고 나왔다.
세월호 선체는 반잠수선과 함께 부두에 직각으로 접안하는 종접안 상태로 모듈 트랜스포터에 실려 부두로 들어온다.
그런데 해수부와 코리아쌀베지는 번거롭게도 굳이 육상에 선체를 올리자마자 다시 90도로 꺾어 객실부는 바다를 향해, 선체 하부는 육상을 향하도록 바다와 평행하게 선체를 거치하겠다고 밝혔다.
조사위가 반대 입장을 밝힌 지 불과 사흘만인 지난 2일 코리아쌀베지 류찬열 대표는 이러한 거치방식에 대해 "만약 절단이 필요하다면 그 때에는 세월호 선체를 다시 움직이기는 힘들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작업을 수행하다보면 어떤 상황이 될지 예측하기 힘들다"며 "일단 다른 작업에도 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선체 상부구조물이 해상을 바라보도록 위치시키려 한다"고도 했다.
다음날인 3일에도 류 대표는 "현 상태대로 (객실을 절단하지 않고) 작업하자면 (세월호가) 어디를 향해도 상관없다"며 "공감대가 형성돼 (객실) 분리로 간다면 해상 기중기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객실 절단을 위한 거치방식임을 재차 강조했다.
가족들과 조사위가 반대해도 객실절단을 위한 준비를 마쳐두고, 상황이 무르익으면 곧바로 절단하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내보인 발언들이다.
하지만 활동 초기 발언 수위를 한껏 낮췄던 조사위가 세월호 선체 무게를 잘못 측정한 사실을 지적하면서 해수부를 본격적으로 견제하자 상황이 반전됐다.
지난 4일 세월호 무게가 잘못 측정됐다는 사실을 밝히는 언론브리핑에서 김창준 조사위원장은 "그 다음 해수부와 조사위 간의 공식적 합의가 있다면 선체 절단은 보류가 확실하다"고 밝혔다.
뒤집어 말하면 조사위의 공식적인 합의 없이는 선체 절단이 불가능하다고 못을 박은 셈이다.
이어 "선체절단을 전제로 일부 단어를 쓰던데 가장 중요한 이유가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또 육상거치에 성공해도 선체 절단은 허락할 수 없냐는 취재진의 거듭된 질문에 "그렇다. 선체 절단은 없다"고 강조했다.
다음날 해수부는 "객실직립을 전제로 선체수색수습을 진행하는 점은 아니다"라며 "조사위나 기타 관계기관에서 제시한 부분을 코리아쌀베지 측이 검토, 반영할 수 있도록 요청하겠다"고 수습에 나섰다.
그리고 세월호 선체를 모듈 트랜스포터로 들어올리는 1차 시도를 50분 가량 남겨둔 저녁 6시 50분, 조사위는 육상 거치에 성공할 경우 객실부를 바다가 아닌 육지로 향하도록 담판을 지어 관철시켰다.
이로써 활동 초기 인력과 예산 및 자료 등의 부족으로 해수부의 인양 프레임을 수긍해왔던 조사위가 육상 이동방식에 이어 거치방식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아끼지 않으면서, 앞으로의 활동에도 더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2017-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