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식지표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건 심리적 요인이 주된 원인이다".
국민들이 느끼는 물가와 정부 공식 물가의 괴리가 크다는 비판이 커지면서, 유경준 통계청장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유 청장은 8일 기획재정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체감, 공식 통계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은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과 심리적 영향 등 다양한 것에 기인한다"며 "보조지표를 만드는 등 체감과 지표상 차이를 줄이려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 청장은 "소비자들은 주로 많이 사는 물건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다"며 이른바 '평균의 함정' 이론을 내세웠다.
소비자물가는 460개 품목을 대상으로 측정하지만, 개별 가구가 느끼는 물가는 이 가운데 주로 소비하는 일부 품목에 대한 '인상'이 강조된다는 것이다.
유 청장은 또 "소비자들은 심리적으로 가격이 더 오른 것을 기억한다"며, 일명 '손실회피편향'도 강조했다.
가령 같은 가중치(1.1)를 가진 참외 가격이 5% 오르고 복숭아가 5% 하락하면 소비자물가는 그대로지만, 소비자들은 체감물가가 오른 것으로 인식한다는 얘기다.
유 청장은 물가뿐 아니라 실업률 역시 이같은 심리적 괴리가 작동한다고 설명했지만, 국민들이 이를 곧이곧대로 납득할지는 미지수다.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지난 2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30명을 조사한 결과, 국민들의 체감 물가상승률은 9.0%로 공식지표의 9배를 기록했다.
소비자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에서 경제성장률을 뺀 '경제고통지수' 역시 정부 지표는 2.0포인트였지만, 체감 지수는 23.7포인트로 12배에 육박했다.
통계청은 이러한 괴리를 줄이기 위해 소비자물가지수 가중치를 최신 흐름에 맞춰 조정하는 한편, 갈수록 늘어나는 1인가구 물가지표도 오는 11월까지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유 청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 출신으로, 친박 인사인 유기준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동생이기도 하다.
2017-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