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근현대사 비중이 40%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여, 전세계 역사교육 추세에 역행한다는 논란이 일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12일 오후 서울 연세대에서 토론회를 열고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공개될 시안은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등 4개 과목이다.
연구진은 "고교 한국사 시안에서 근현대사 비중이 과다하다는 의견을 반영,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을 5대 5에서 6대 4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발전'이란 대단원에 포함돼있던 신라 등 삼국시대 서술은 '고대 국가의 발전'이라는 별도 대주제로 비중이 커진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일정한 시기를 집중적으로 배우면 암기를 많이 하게 되고 학습 부담도 크다"며 "시대별 균형을 맞출 필요성이 있다"고 이같은 방향에 힘을 실었다.
하지만 한국학중앙연구원 구난희 교수는 사전 배포한 토론문을 통해 "세계의 역사교육 추세는 한결같이 근현대사를 중시하고 있다"며 "시안은 근현대사를 줄인 게 아니라 전근대사를 늘린 것에 불과해 학습분량이 커지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시안은 또 한국사 교과서를 정치사 중심으로 구성하되, 정치·토지제도 등 제도사는 기본적 내용만 제시하도록 했다.
경기대 이재범 교수는 "그동안 고교 한국사 내용이 지나치게 방대하다는 지적에 따라 정치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짰다"며 "시대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실과 내용은 경제와 사회, 문화사 등을 통해 학습량이 과도하지 않은 수준에서 포함시켰다"고 설명했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경우 한국사 영역에서 세계사 내용을 통합해 서술하는 방식으로 바뀔 전망이다. 또 고교 세계사는 시대 구분별 서술 대신 지역 중심 기술에 방점이 찍혔다.
201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