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가 뭐길래…교육도 '기능인 양성' 방점

정부가 130개 공공기관 채용에 전격 도입하기로 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지표다.


박근혜정부 들어 교육 당국이 부쩍 강조하고 있는 '산업수요 맞춤형 대학교육'과도 연계돼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학가의 반발에도 "인문학보다 취업이 우선"이라며 학과 구조조정 등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도 같은 연장선상이다.


NCS에 따라 대학은 관련 학과를 통해 가르치고, 기업들도 공인 외국어 성적 등 기존의 '스펙'보다는 이 능력을 제대로 갖췄는지를 판단해 채용하는 구조로 바꿔나가겠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지난 1월 대통령 업무보고와 국회 보고를 통해서도 NCS에 기반한 현장 중심 직업교육 확산을 위한 여러 방안들을 내놨다.


먼저 '공과대학 혁신 방안'을 본격 추진하는 한편, 인문·사회 등 비이공계 분야까지 산학협력 마인드를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장실습 등 실적에 따라 산업체에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를 올해부터 시범 운영한다.


또 올해 4년제 대학 56곳과 전문대학 30곳을 대상으로 '2단계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추진, 이를 토대로 우수사례들을 적극 전파해나갈 계획이다.


교육부의 NCS 확산은 특히 전문대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전문대에서 NCS 기반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에는 일반대 편입시 학점을 인정하도록 권장한다는 방침이다. '특성화 대학'으로 성장하게 지원한다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NCS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편한 전문대는 전체의 57%인 78곳"이라며 "부천대 전자과, 백석문화대 스마트폰콘텐츠전공학과 등이 지난 2013년부터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NCS 체제 개편은 비단 대학에만 한정된 게 아니다. 정부가 9개 특성화고와 기업군을 선정해 시범 운영중인 '스위스식 도제교육' 시스템도 같은 맥락에 있다.


학생들이 산업 현장을 오가며 실무 능력을 갖추게 만드는 '일학습병행제'의 일환으로, 정부는 내년까지는 특성화고 475곳에 NCS 적용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또 참여 학교와 기업군이 있는 지역을 도제 특구로 지정,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NCS 드라이브'가 주로 기술직에 한정돼있는 만큼, 정부가 부르짖는 '스펙이나 학벌 타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특히 다양한 분야와 지식에 대한 '종합적 소양'을 습득해야 할 교육의 본령과 달리, 철저하게 '기능' 위주로 시스템이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당장 이번에 NCS 기반 채용을 도입하기로 한 130곳 공공기관의 경우에도 취업준비생들의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전공필기시험의 경우 1년간 유예기간을 두는 등 단계적 도입을 추진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1만 7천명 규모로 예상되는 신규 채용 가운데 3천명가량에 대해서만 NCS 기반 면접 등이 적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취업준비 매뉴얼을 비롯한 각종 자료를 각 학교와 취업준비관에게 배포하는 한편, 다음달까지 권역별로 설명회도 연다는 계획이다.



2015-03-2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