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선 '한방'…MB정부선 '무방'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둔 후보자들이 잇따라 '위장 전입'이나 '논문 표절'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 당시만 해도 당대의 '정승감'들을 줄줄이 집으로 돌려보냈던 '한방' 사안들이다.

하지만 이명박정부 들어 이들 잣대로 낙마한 사례는 사실상 단 한 건도 없어, 현 정권의 도덕적 기준이 지나치게 추락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인사청문 대상 가운데 위장전입 논란에 휘말린 사람은 임태희 노동부장관과 민일영 대법관 후보자다.

임 후보자는 공무원 시절이던 지난 84년과 87년 두 차례에 걸쳐 장인인 권익현 전 의원의 지역구였던 경남 산청에 주소를 옮긴 사실이 드러났다.

야권은 이를 친인척 선거지원용 위장전입으로 보고 "공무원 중립 의무를 어긴 부적절 행위"라며 벼르고 있다.

민 후보자도 아내인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지난 85년 위장전입한 사실이 드러나자 "사원 아파트를 얻기 위해 부득이 옮겼다"고 해명했다.

정운찬 총리 후보자와 백희영 여성부장관 후보자는 논문 관련 의혹에 휘말렸다.

정 후보자는 지난 2000년 모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이듬해 영문으로 번역해 다른 학술지에 인용 표시없이 '중복 게재'했다.

또 지난 97년에도 자기 논문의 상당 부분을 인용해 계간지 등에 기고하는 등 '자기 표절' 의혹을 사고 있다.

백 후보자 경우 지난 2007년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에 이름을 같이 올려 자신이 회장을 역임한 학회지에 게재, '논문 가로채기' 구설수에 휩싸였다.

후보자들은 모두 "크게 문제될 게 없다"며 청문회에서 해명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들 사안은 불과 몇 년전만 해도 상당한 사회적 파장을 불러온 '낙마 직결 코스'였다.

국민의정부 시절 '위장 전입'으로 한방에 날라간 총리 후보자만도 장상, 장대환 등 두 명이다. 주양자 보건복지부장관도 이 사안 하나로 낙마했다.

참여정부 들어서도 이헌재 경제부총리와 최영도 국가인권위원장, 김명곤 전 문화부장관 등이 가족의 위장전입 의혹으로 줄줄이 철퇴를 맞았다.

논문 표절 의혹 역시 '단칼 사안'였음은 물론이다. 참여정부 당시 김병준 교육부장관은 제1야당이던 한나라당의 압박에 못 이겨 기용 13일만에 이 사안으로 중도 하차했다.

그러나 현 정부 들어 이들 잣대들은 사실상 '사문화'됐다는 평가다. 오죽하면 "위장전입과 논문표절은 MB정권의 필수과목"이란 야당의 비아냥까지 나올 정도다.

위장전입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 시절이던 2007년 첫 '면죄부'를 받은 이후로 사실상 '무방한' 사안이 돼버렸다.

한승수 총리와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현인택 통일부장관과 이만의 환경부장관, 김병국 외교안보수석까지 숱한 인사들이 번번히 위장전입 의혹을 샀지만, 도덕 잣대로서의 역할은 하지 못했다.

'스폰서' 문제로 낙마한 천성관 전 검찰총장 후보자도, 갖은 논란에 휘말렸던 김준규 검찰총장도 위장전입만큼은 청문회에서 단박에 시인할 정도였다.

논문 관련 의혹 역시 '약발'이 사라지긴 마찬가지다. 이명박정부 출범 직후 김성이 전 보건복지부장관과 박미석 전 청와대 수석 등이 도마에 올랐지만, 이 사안이 낙마로 이어지진 않았다.

두 잣대로 여러 '정승'들을 날렸던 한나라당의 태도 역시 180도 달라졌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11일 공개 회의에서 "모든 사람이 완전무결할 수 있느냐"며 "성인 군자가 아니라면 결점 없는 사람은 없다"고 못박았다.

그러면서 "이번 인사가 잘 됐고 철저한 검증을 거쳤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사실상 이미 청문 결론을 냈다.

인사 때마다 '철저한 검증을 거쳤다'고 자부해온 청와대와 집권 여당.

하지만 그때마다 위장전입과 논문 관련 의혹이 어김없이 터져나오는 걸 보면 "이들 잣대는 더 이상 갖다대지 말라"고 정권 차원에서 공식화한 모양새가 됐다.

결국 이들 도덕 잣대는 이제 실용 기치 앞에서 '잃어버린 10년'에나 존재했던 '화석'(化石)이 될 운명에 처하고 있다.

2009-09-11 오후 10:04:07


더보기